코로나 19 바이러스 펜데믹이 장기화되면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 대부분이 위기와 시련을 직면하고 있습니다.
얼마를 어디에 쓰면, 어느 정도 매출이나 이익률이 개선된다는, 기존에 사업을 지탱할 수 있었던 나름의 셈법이 코로나 19 장기화 속에서 다 무너지면서, 마땅한 전략과 대비책 하나 마련하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늘 관건은 재원마련인데, 이런 중소기업의 재무적 취약점을 보완하고,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 중소기업 대출 지원 제도입니다.
중소기업은 시중은행이나 각종 기관이 직접 대출을 지원하는 직접 금융과 보증서 발급을 통한 간접금융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지원기관은 나름의 기준을 마련해 정책적으로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10년 이상 제조기업들이 기업의 운영으로 쌓은 자본보다, 10년 전 구매한 공장의 가격 상승으로 얻은 자본이득이 훨씬 큰 경우도 많습니다.
10년 유통사업을 한 법인도 유통수수료는 매년 낮아지고, 인건비와 임대료, 전기세와 세금은 매년 인상되는 경험을 하고 있습니다.
기업이 가진 기술이나 독창성이 완벽하다면 콘텐츠와 기술에서 승부를 걸고 투자를 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사업소득의 효율과 자본소득의 효율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그 근간은 당연히 자금 조달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현실적인 재무전략의 수립과 실현입니다.
최근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이 정책자금의 한도와 금리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스펙들을 갖추기 위한 상담이 많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정책우선도 평가에서도 인증여부 관련은 연구소설립, 벤처기업확인제도, ISO, 이노비즈, 메인비즈, 사회적기업, 여성기업, 미래성과공유기업 등을 체크하고, 기술성과부분에서는 특허와 실용신안권을 보유하고 있는지, 또 몇 건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며, 내일채움공제 등 고용촉진 관련 정부의 방침들의 실행여부도 묻습니다.
이 모든 스펙들이 시설자금이나 운전자금이 필요할 때 가점 또는 필수요건입니다.

김정열 / 운영위원
인증 컨설턴트